beos
타인의 마음 본문
여러 형태의 회의주의 가운데 특별한 종류의 회의주의가 있다. 이 회의주의는 당신의 마음 외에도 당신이 주변에서 보고 느끼는 당신의 몸을 포함한 물리적 세계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받아들여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남아 있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우리 자신 외의 타인의 본성, 나아가 타인의 마음의 존재, 또는 타인의 경험들에 대해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타인의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실제로 얼마나 알고 있을까? 분명한 것은 우리가 관찰하고 있는 것은 사람들을 포함한 다른 생물체들의 몸뿐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그들의 행동을 지켜보고, 그들이 말하는 것과 그들이 만드는 소리를 듣고, 그들이 주변 환경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즉 무엇이 그들의 주의를 끌고, 무엇이 그들을 멀리하는지, 그들이 무엇을 먹는지를 본다. 우리는 또한 다른 생물들을 절개하여 물리적 내부 구조를 볼 수 있고, 나아가 해부학적 구조를 자신의 것과 비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증거에도 불구하고 타인의 경험과 생각 그리고 느낌에 직접 접근할 수는 없다. 당신이 실제로 가질 수 있는 유일한 경험은 당신 자신의 경험뿐이다. 만일 타인의 심적 세계에 대한 무언가를 믿는다면, 그것은 그들의 물리적 구성과 행동을 당신이 관찰한 바에 기반을 둔 것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당신이 친구와 함께 아이스크림을 먹는다고 가정해보자. 그때 당신은 어떻게 당신이 느끼는 것과 똑같이 당신의 친구도 그 아이스크림 맛을 느낀다는 것을 아는가? 물론 당신 친구의 아이스크림을 맛볼 수 있다. 그러나 같은 맛이더라도 그것은 단지 그 아이스크림이 당신에게 같은 맛이 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신은 그 아이스크림이 그에게 어떻게 맛이 나는지 아직 경험하지 못하였다. 이처럼 두 명의 미각 경험을 직접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은 없어 보인다.
당신과 친구는 모두 같은 인간 존재이고, 둘 다 아이스크림 맛을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예컨대 두 눈을 감고도 초콜릿 아이스크림과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구별할 수 있다) 둘의 미각 경험은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당신은 그것을 어떻게 아는가? 당신은 당신이 먹은 아이스크림의 종류와 맛의 연관성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의 경우에도 아이스크림마다 비슷한 맛이 날 것이라 생각할 근거가 없다. 그가 느끼는 초콜릿 맛이 당신에게는 바닐라 맛이고 당신이 느끼는 초콜릿 맛이 그에게는 바닐라 맛이라고 가정해보자. 당신이 친구와 똑같이 맛을 느낀다는 것을 증명할 모든 증거 또한 이 가정을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
같은 논변이 다른 종류의 경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당신에게 노랗게 보이는 것이 친구에게는 붉게 보일 수도 있다. 당신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물론 친구에게 소방차가 어떻게 보이는지 물어볼 수 있다. 그러면 그는 피처럼 붉게 보이며, 민들레처럼 노랗게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대답하는 까닭은 그는 당신과 마찬가지로 ‘붉다’라는 단어를 그에게 보이는 소방차와 피의 색에(진짜 그 색이 무엇이건 간에)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 색은 당신이 노랑 혹은 파랑이라고 부르는 색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당신이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색일 수도 있고, 나아가 당신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색일지도 모른다.
이를 부정하기 위해서는, 맛과 색의 경험은 감각기관의 물리적 자극들과(그 자극을 누가 겪든 간에) 단일하게 상호연관되어 있다는 가정에 호소해야 한다. 그러나 회의주의자들은 그러한 가정을 지지할 어떠한 증거도 없다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이 설정하는 상황은 당신의 과거에서도 그 가정을 증명할 어떠한 증거도 가질 수 없도록 한다. 당신이 관찰할 수 있는 모든 것은 자신의 경우에 한하여 맛과 색에 대한 경험이 물리적 자극과 일관되게 상호연관성(correlation)을 갖는다는 것뿐이다.
이 논변에서 언급하는 가정에는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내포될 수 있다. 물리적 자극과 경험의 상호연관성이 사람마다 정확히 같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아이스크림을 두고도 두 사람의 색과 맛에 대한 경험이 아주 조금은 다를 수 있다. 사실 물리적으로 서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당신은 둘이 갖는 경험이 극단적으로 다를 수는 없으며, 만일 크게 다르다면 차이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신의 친구가 경험하는 초콜릿 아이스크림의 맛이 당신이 맛보는 레몬 맛과 같을 수는 없다. 만일 같다면 친구의 입은 초콜릿 아이스크림을 먹을 때 레몬 아이스크림을 먹을 때처럼 잔뜩 일그러질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또 다른 상호연관성을 가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말하자면, 내적 경험과 관찰 가능한 특정한 반응 사이에 상호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같은 관찰 가능한 반응이 같은 경험과도 연결된다고 가정한다. 당신이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이 일그러진 입맛 당신이 신맛이라고 부르는 것이 상호연관되어 있다는 것뿐이다. 다른 사람들의 경우에도 그것처럼 상호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당신은 어떻게 아는가? 당신 친구가 입을 일그러뜨릴 때 겪는 경험은 당신이 오트밀을 먹을 때 겪는 경험과 같을 수도 있다.
이런 종류의 질문들을 계속하다 보면, 단순히 초콜릿 아이스크림이 당신과 당신 친구에게 똑같은 맛이 나는지 의심하던 온건하고 무해한 회의주의에서 당신의 경험과 당신 친구의 경험 사이에 아무런 유사성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고 의심하는 보다 극단적인 회의주의로 옮겨가게 된다. 당신은 어떻게 그가 그의 입에 무언가를 넣을 때 당신이 맛(flavor)이라고 부르는 것 자체를 경험하는지 아는가? 그가 경험하는 것은 당신이 소리라고 부르는 것일 수도 있고, 당신이 전혀 경험해본 적이 없거나 상상하지 못했던 것일 수도 있다. 당신이 아는 모든 사실들에서 이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식으로 밀고 나가면, 마지막에는 타인 마음의 존재 자체를 의심하는 가장 극단적인 형태의 회의주의에 도달하게 된다. 당신은 당신의 친구가 의식이 있다는 것 자체를 어떻게 아는가? 당신의 마음 외에 다른 사람의 마음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마음, 행동, 인체의 구조, 물리적 환경이 서로 상호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당신이 직접 관찰할 수 있었던 유일한 경우는 당신 자신뿐이다. 다른 사람들과 동물들이 경험 자체를 비롯하여 어떤 종류의 심적 활동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단지 정교한 생물학적 기계에 불과하다고 가정해보자. 그래도 그것들은 여전히 똑같아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들이 단지 정교한 생물학적 기계가 아니라는 것을 당신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당신 주변의 존재들이 마음을 소유하지 못한 로봇이 아님을 당신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당신은 결코 그 마음속을 들여다본 적이 없으며(그리고 들여다볼 수도 없다), 그것들의 물리적 행동은 순전히 물리적 원인들로 일어난 것일 수도 있다. 친척들과 이웃들 그리고 당신의 고양이와 개에게는 아무런 내적 경험이 없을지도 모른다. 또한 그들이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알 방법이 없다.
당신은 그들의 행동을(그들이 말하는 것을 포함하여) 증거로 내세울 수도 없다. 행동을 증거로 내세운다면, 당신의 내부에 서처럼 그들의 내부에서도 외부 행동이 내적 경험과 연관된다고 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가정은 당신 스스로로도 아직 증명하지 못한 것이다.
내 주변의 사람들 중 누구라도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은 미묘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한편으로는 그런 상황을 상상할 수 있으며, 어떤 증거도 그런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나 스스로가 그런 상황이 정말로 가능하다고 믿을 수 없기도 하다. 그들의 의문 안에 마음이 들어 있으며, 눈 뒤에 시각이 있고, 귀 안에는 청각이 있다는 나의 확신은 본능이다. 그러나 본능에 의한 확신이라면, 참된 지식이 아니지 않을까? 타인의 마음에 대해 갖는 믿음이 오류일 가능성을 받아들인 이상, 그 믿음을 정당화하려면 더 신뢰할 만한 무엇이 필요하지 않을까?
'read, think, wr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 (2) | 2025.08.28 |
---|---|
회피의 세대 그리고 커먼센스의 부재 (1) | 2025.08.27 |
자유의지 (1) | 2025.08.26 |
삶의 복리 (1) | 2025.08.23 |
질문 (5) | 2025.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