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임산부배려석 (1)
beos

중국의 강한 성장은 인구수(노동력)에서 나온다는 이야기도 있던 것 같다. 한국이야 과거 제조업 이후 2차 제조나 서비스업, IT, 컨텐츠 등의 산업이 발달 인구를 기반으로 한 노동이 크게 필요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다지 인구수를 강하게 끌어올릴 필요가 없지 않았을까 한다.인구 증가가 곧 국가의 동력이라 일컬어지던 때가 있었다. 50년대 전쟁직후 베이비붐 세대가 그렇고, 70년대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표어가 그렇다. 물론 이후는 노동력을 염두에 둔 인구 정책들은 아니겠지만 산아제한보다는 출산장려가 종종 있었다. 우리나라는 2020년부터 향후 45년간 세계에서 유례없는 고령화가 진행된다고 한다. 아까 언급했던 베이비부머 세대와 70년대 생이 많기 때문이다. 땅은 좁고 한국도 예전처..
diary
2020. 6. 25.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