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05.07 성장과 스트레스

by in (think) out 2025. 5. 7.

일이건 삶이건 스트레스가 반복된다면 그것은 성장하는 중이라는 신호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회피한다. 그래서 성장하지 못한다. 그러나 성장하는 사람은 불편한 자극은 회피가 아니라 돌파해야 할 대상이라는 것을 직간접적으로 안다. 스트레스를 이겨내야 성장으로 해소가 된다는 것을. 

예를 들어 직장에서 '저 인간이 나에게 부정적인 시그널을 던지네? 스트레스받는다.'라고 쳐보자.
보통은 그 부정적인 에너지에 삶이 늪으로 빠지고 기분과 삶의 만족도는 마이너스로 치닫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느끼는 바로 그 순간은 우주가 나에게 테스트를 하는 것이라는 걸 상기해 보자. 단지, 내 인생이라는 시나리오에 새로운 퀘스트자 새로운 NPC같은 등장인물이 하나 추가되었을 뿐이다. 많이 겪어봤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인간과의 관계는 어느덧 사라져 있고 다른 더 강력한 등장인물이 더 큰 시련을 주며 시간은 연속될 것이다.

그게 인생이다. 절대 그런 상황은 끝나지 않는다. 그럼 매번 그런 상황에 침울해 할 것인가? 이젠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느냐가 중요하다. 인식의 문제다. 상황을 한 걸음 뒤에서 관찰자 시점으로 바라보며, 매일매일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려 노력하자. 인생에 굉장히 건강하고 만족스럽고 성공하는 시기는 찰나다 그걸 100이라 해보자. 때론 굉장히 힘들고 더 이상 헤쳐나가지 못할 것 같은 상황도 있을 것이다 그것이 -100이라 쳐보자. 인생은 지루하고 긴 게임이다. 기쁘지도 슬프지도 않은 0의 상태로 빨리 나를 맞추며 꾸준하게 나아간다면 결국 성공은 따라오지 않을까. 

꾸준하지 못하다는 건 곧 회피하고 있다는 뜻이고, 그것은 내 그릇이 작다는 반증이다. 그릇이 작다는 것은 작은 스트레스의 출렁임을 견디지 못하고 쉽게 반응한다는 이야기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아, 이런 상황이 그런 거였지' 라며 굉장히 별거 아닌 듯한 태도로 넘길 줄 알아야 한다. 이해하고 수용한달까. 그동안 나는 너무 딥하고 진지하고 끙끙 앓았던 거 같은데 이제는 조금 가볍게 느끼려 노력한다.

나는 여태 갈 길이 멀었었는데 아마 수능이라 치면 2등급에서 1등급을 가는 과정이었을 것이다. 그것은 상대적으로 쉽다. 그러나 1등급에서 1점짜리를 더 맞추는 것. 남들이 못맞추는 것을 하나라도 더 맞추는 것은 최고등급으로 가는 일인데 그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성공하는 자들은 대부분 꾸준한 이 게임에서 작은 하나씩을 더 성공시키며 무언가에서 성과를 내고 , 그로 인해 다음 기회를 얻고, 결국 조직의 중심이 되는 흐름을 경험한다. 남들이 좌시할 수 있는 포인트들을 짚어내며 작지만 시간이 드는 일들을 두려워하지 않고 더 많은 시간을 쓰는 것. 시간싸움이 아닌 곳으로 가기 위해 노력하는 것. 사고의 타당성에 스스로 밀리지 않기 위해 사고력을 높이는 것. 그러기 위해선 한 줄 한 줄 참된 의미를 이해하며 공부해야 하는 사람이 분명히 성공할 것이다.

 

반면, 아무런 성과도 없이 이리저리 이동만 반복하는 사람들은 아무리 능력이 있어 보여도 결국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 그것은 성공의 본질이 아니다. 될 놈은 지금 이 자리에서 "일단 여기서 뭔가 해보자"며 묵묵히 성과를 만들어내리라. 사람이든, 상황이든, 그 안에는 옳은 방향이 있다. 이런 것이 세상에 존재하는 진리 중 하나라 믿는다. 


 나는 요즘 숫자와 수치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지금 얼마를 벌고 있는지를 인식하는 순간, 나는 이미 부를 쌓을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알았다. 작은 숫자에 집착하는 상태. 일이 잘 되면 알아서 잘 되어 있을 것을 돈과 결부시켜 일을 보는 것은 작은 그릇이라는 증거다.

부자가 될 것인가, 아니면 부자로 보이고 싶은지는 너무나 자명하다. 큰 숫자를 넣어두고 남들보다 조금 더 좋은 감각, 끈기, 의지를 가지고 스트레스를 이겨내며 끝까지 가보는 것.

 

"저 사람은 앞으로 계속 잘 되겠다."
그런 생각이 드는 사람은 대부분 진리를 아는 사람이다. 그리고 결국엔 행복하게 죽는 사람이다. 살고 싶은 삶을 살자.